장마철을 앞두고, YTN이 지난해 침수 피해를 입었던 현장을 찾아 대비 상황을 점검하는 기획 보도를 이어갑니다. <br /> <br />어제 서울 신림동 반지하촌을 찾은 데 이어서, 둘째 날인 오늘은 폭우로 곳곳이 침수되면서 퇴근길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던 곳이죠, <br /> <br />서울 지하철 이수역 상황을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유서현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1년 전 폭우 때 유독 침수 피해가 컸던 곳인데, 올해는 어떻게 대비하고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곳 이수역 9번 출구는 다른 출구보다도 지대가 낮은 데다가, 이렇게 위가 뻥 뚫려 있는데요, <br /> <br />그래서 지난해 폭우 땐 여기 에스컬레이터를 따라 빗물이 집중적으로 유입됐습니다. <br /> <br />역사 안까지 물이 밀려 들어왔고, 고인 빗물 무게를 못 이겨서 아래층 승강장 천장이 무너져내리기도 했는데요, <br /> <br />올해 대비는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저희 취재진이 이곳을 다시 찾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출입구 양쪽 벽면엔 이렇게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40cm 높이의 물막이판이 2개씩 붙어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에도 하나가 있긴 했지만, 한 시간에 최대 140mm까지 쏟아지는 강수량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는데요, <br /> <br />이제 빗물이 지면에서 80cm 높이까지 차올라도 버틸 수 있게 개선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서울시는 올해 지하철역 330여 곳의 천9백여 개 출구 대부분에 물막이판을 하나씩 설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서울 지하철 2호선 역삼역 6번 출구나, 4호선 서울역 10번 출구 등 10여 곳에는 여전히 물막이판이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민간 건물이 관리하는 지하철 출구라 물막이판 설치에도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, 아직 협조를 얻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게 서울교통공사 측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다른 출구를 모두 막더라도 한 곳에서 빗물이 들어오기 시작하면, 역은 결국 침수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하철 역사는 공공성을 띠는 만큼, 민간이 관리하는 곳도 아우를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설비를 준비해 두는 것과는 별개로, 폭우가 쏟아질 때 발 빠르게 설치하는 것도 중요하지 않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8월 폭우 때 상황을 다시 되짚어보면, 제가 지금 나와 있는 지하철 7호선 이수역은 열차가 무정차 통과했고요, <br /> <br />9호선에서도 동작역 전체가 빗물에 잠기고, 바로 옆 구반포역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유서현 (ryu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1412464870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